'농촌에서 살아보기'는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청장년층이 농촌지역에 실제로 이주하기 전에 희망지역에서 최대 6개월간 거주하면서 일자리, 생활 등을 체험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임시 주거와 마을에서 제공하는 일자리 참여 프로그램에 참가하면 연수비 30만 원을 지급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 보도자료에 의하면 2023년 '농촌에서 살아보기' 참가자를 2월 15일부터 모집하고 참가자로 확정되면 3월 2일부터 전국 약 130개의 운영마을에 입주하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참가 희망자는 귀농귀촌종합센터 누리집을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농촌에서 살아보기
2021년부터 시작된 제도로 귀농귀촌을 희망하는 도시민들에게 농촌에서 최장 6개월간 거주하며 영농 기술 교육뿐만 아니라, 지역 일자리 체험, 주민교류 기회등을 제공합니다. 참가자에게는 마을에서 제공하는 숙소를 포함하여 마을에서 제공하는 월 15일 이상 일자리 참여 프로그램을 이수하면, 수행여부 확인 후 연수비 30만원을 지급합니다.
1. 신청기간
2023년 2월 15일부터 신청 접수 중이며, 준비된 마을부터 순차적으로 신청을 받을 계획입니다. 올해 참여 시군은 총 102개로 운영마을도 130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프로그램 시작은 운영마을에 따라 다르니 일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 유형
귀농형, 귀촌형, 프로젝트 참여형으로 나뉩니다.
- 귀농형 : 만 18세 이상, 영농체험
- 귀촌형: 만 18세 이상, 중심지거주형, 농촌유학연계형
- 프로젝트 참여형 : 만 18 이상 ~만 40세 미만, 창업연계형, 사회적 경제형
3. 신청방법
귀농귀촌종합센터 누리집(www.returnfarm.com)에서 회원가입 후 '농촌에서 살아보기' 페이지에서 참가 신청
- 2023년도 최초 참가자로, 2022년 참가이력이 있는 자는 원칙적으로 참여가 불가합니다만 예외적으로 시군 운영협의체에서 선정할 수 있습니다.
- 동시에 최대 3곳에 신청 가능합니다.
- 6개월 내에서 2개 마을까지 참가 가능합니다만, 참가 기간이 유형별로 상이하니, 기간을 미리 확인하시어 운영마을과 협의하셔야 합니다.
- 회원가입 시 관심지역 등 추가정보를 입력하면 해당 지역의 모집 계획이 있을 경우 신청일 시작 전에 문자로 개별 안내
4. 선정방법
신청하신 마을에서 전화 또는 영상면접 등을 통해 참가자를 선정합니다.
'각종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진해 벚꽃 축제 진해 군항제 (0) | 2023.02.27 |
---|---|
2023년 우유 바우처 월 1만 5천원 지원 신청기간 사용처 신청방법 (0) | 2023.02.25 |
경기도 초중고 학생 승마 체험 70% 지원 (0) | 2023.02.23 |
2023년 김포 한강 마라톤 대회 신청 (0) | 2023.02.20 |
2023년 인건비 지원 사업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신청방법 (0) | 2023.02.17 |